언론보도
[언론보도]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는 홍순명을 만나 예술이 되었다
2023.04.26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는 홍순명을 만나 예술이 되었다
호반미술상 1회 수상자 작품세계
33살 프랑스에서 읽은 책에 매료
중심·주변 관계 전복시키는 작업
‘사이드스케이프’ 연작으로 정점
“진실은 여러 부분 종합해야 보여”
현대 물리학을 구성하는 두 기둥은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이다. 그중 양자역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는 독일 물리학자 하이젠베르크는 ‘부분과 전체’라는 책을 써서 세계를 이해한다는 건 복잡하게 얽힌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깨닫는 것이라고 했다. 1990년대 초 프랑스에서 활동하던 서른세 살의 한국인 작가는 우연히 ‘부분과 전체’를 읽고 ‘이거다’라는 생각이 번개처럼 머릿속에 떠올랐다고 했다.
“국내외를 오가며 세계화와 디아스포라, 중심과 주변에 대해 고민하던 그때 ‘부분과 전체’를 읽고 감명받아 이를 작업에 끌어왔던 거죠. 그렇게 작업하면서 여기까지 왔습니다.”
호반문화재단이 국내 중견·원로 작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시작한 ‘호반 미술상’의 제1회 수상자 중 한 명인 홍순명(64) 작가는 작업의 시작을 이렇게 떠올렸다. 홍 작가는 회화, 설치, 판화, 미디어아트 등 매체를 넘나들며 독창적이면서 실험적인 작업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어느 하나에 집중하는 스타일이 아니어서 뭔가가 생각나 바로 해야 한다. 원래 설치 작가였는데 회화를 하려고 하다 보니 새로운 것을 찾게 됐다”고 확장의 이유를 에둘러 설명했다.
대표작 ‘사이드스케이프’ 연작은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전복시켜 보편적 미의 기준과 범위, 경계를 흔드는 홍순명 예술 미학의 핵심을 보여 준다. ‘붉은 남쪽 바다’나 ‘여수, 5월 29일, 2012년(Yeosu. May 29. 2012)’ 같은 작품들은 독립적 이미지를 가진 작은 캔버스들을 조합해 하나의 커다란 이미지를 만든다. 그는 국내외 사회·정치적 사건 현장을 담은 사진이나 현장의 사물을 활용해 과거와 현재를 거쳐 미래에도 반복될 수 있는 진실의 불확실성과 부분이 말하는 전체, 전체가 보여 주는 부분에 대해 끝없이 질문한다. 그는 사건의 진실은 눈에 띄지 않는 다른 곳에, 전체를 구성하는 여러 부분을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홍 작가는 25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람이 50대가 되면 사회에서 일어난 사건들에 대해 약간의 책임감은 무조건 느껴진다고 생각한다”며 “세월호 사건 이후 팽목항과 가까운 해안가에서 주워 온 쓰레기들로 설치 작품을 만든 것도 그런 이유”라고 설명했다.
빛바랜 흑백 사진 같은 느낌을 주는 ‘흔한 믿음, 익숙한 오해’ 연작은 사회적 변화와 역사적 사건이 가족 간 갈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 준다. 아들과 어머니가 서로 다른 지점을 응시하는 듯한 그림은 단순한 세대 간 갈등이 아니라 세계관의 갈등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뿔 달린 자화상’이나 ‘내가 너이더냐, 네가 나이더냐’ 같은 작품은 홍 작가가 젊은 시절부터 자신의 예술적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 왔음을 새삼 느끼게 한다. 홍 작가와 또 다른 수상자인 강운(57) 작가의 회고전은 다음달 14일까지 전쟁기념관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된다.
유용하 기자
서울신문, 2023-04-26
호반미술상 1회 수상자 작품세계
33살 프랑스에서 읽은 책에 매료
중심·주변 관계 전복시키는 작업
‘사이드스케이프’ 연작으로 정점
“진실은 여러 부분 종합해야 보여”
현대 물리학을 구성하는 두 기둥은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이다. 그중 양자역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는 독일 물리학자 하이젠베르크는 ‘부분과 전체’라는 책을 써서 세계를 이해한다는 건 복잡하게 얽힌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깨닫는 것이라고 했다. 1990년대 초 프랑스에서 활동하던 서른세 살의 한국인 작가는 우연히 ‘부분과 전체’를 읽고 ‘이거다’라는 생각이 번개처럼 머릿속에 떠올랐다고 했다.
“국내외를 오가며 세계화와 디아스포라, 중심과 주변에 대해 고민하던 그때 ‘부분과 전체’를 읽고 감명받아 이를 작업에 끌어왔던 거죠. 그렇게 작업하면서 여기까지 왔습니다.”
호반문화재단이 국내 중견·원로 작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시작한 ‘호반 미술상’의 제1회 수상자 중 한 명인 홍순명(64) 작가는 작업의 시작을 이렇게 떠올렸다. 홍 작가는 회화, 설치, 판화, 미디어아트 등 매체를 넘나들며 독창적이면서 실험적인 작업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어느 하나에 집중하는 스타일이 아니어서 뭔가가 생각나 바로 해야 한다. 원래 설치 작가였는데 회화를 하려고 하다 보니 새로운 것을 찾게 됐다”고 확장의 이유를 에둘러 설명했다.
대표작 ‘사이드스케이프’ 연작은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전복시켜 보편적 미의 기준과 범위, 경계를 흔드는 홍순명 예술 미학의 핵심을 보여 준다. ‘붉은 남쪽 바다’나 ‘여수, 5월 29일, 2012년(Yeosu. May 29. 2012)’ 같은 작품들은 독립적 이미지를 가진 작은 캔버스들을 조합해 하나의 커다란 이미지를 만든다. 그는 국내외 사회·정치적 사건 현장을 담은 사진이나 현장의 사물을 활용해 과거와 현재를 거쳐 미래에도 반복될 수 있는 진실의 불확실성과 부분이 말하는 전체, 전체가 보여 주는 부분에 대해 끝없이 질문한다. 그는 사건의 진실은 눈에 띄지 않는 다른 곳에, 전체를 구성하는 여러 부분을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홍 작가는 25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람이 50대가 되면 사회에서 일어난 사건들에 대해 약간의 책임감은 무조건 느껴진다고 생각한다”며 “세월호 사건 이후 팽목항과 가까운 해안가에서 주워 온 쓰레기들로 설치 작품을 만든 것도 그런 이유”라고 설명했다.
빛바랜 흑백 사진 같은 느낌을 주는 ‘흔한 믿음, 익숙한 오해’ 연작은 사회적 변화와 역사적 사건이 가족 간 갈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 준다. 아들과 어머니가 서로 다른 지점을 응시하는 듯한 그림은 단순한 세대 간 갈등이 아니라 세계관의 갈등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뿔 달린 자화상’이나 ‘내가 너이더냐, 네가 나이더냐’ 같은 작품은 홍 작가가 젊은 시절부터 자신의 예술적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 왔음을 새삼 느끼게 한다. 홍 작가와 또 다른 수상자인 강운(57) 작가의 회고전은 다음달 14일까지 전쟁기념관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된다.
유용하 기자
서울신문, 2023-04-26